노인성 질환 확인하고 예방하세요

노인성 관절 질환 확인하고 예방하세요

나이가 먹어가며 몸도 같이 삐걱대기 시작합니다. 미리미리 확인하고 조심하는 것이 더 나이 먹었을 때 도움 될 수 있습니다. 노인성 질환은 대부분 퇴행성 질환으로 노화가 되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어떤 것들을 조심 해야 하는지 알아보시고 예방하세요!

노인성 질환 확인하고 예방하세요

노인성 관절 질환 확인하기

노인성질환이란?

노인성 질환이란 노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신체 기능이 하나, 둘 씩 저하되면서 나타나는 질환들을 말합니다.

피부, 관절, 뇌 등이 관련 된 질환이 많이 발생합니다.

의학의 발달로 인해, 평균 수명이 연장되어 사망으로 인해 질환이 발생되지 않았던 것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예방법을 확인하고 질환의 발생을 최대한 늦춰야 합니다.

노인성 질환의 종류

  • 치매(알츠하이머)
  • 뇌혈관 질환
  • 관절염
  • 골다공증
  • 당뇨병
  • 파킨슨병
  • 고혈압

위에 7가지가 주요 노인성 질환이며, 그 외에도 많은 질환들이 있습니다.

치매

치매는 뇌혈관계 질환 중 한가지에 속하며, 노화로 인한 뇌기능 손상으로 인해 인지기능이 저하되는 질병입니다. 85세 이상 연령층에서는 25% 이상이 치매 환자라고 합니다.

증상이 심해져 가장 가까운 가족까지 잊어버리기 전에, 초기증상과 체크리스트를 통해 미리 확인해보세요. 요즘엔 의학의 발달로 인해 초기에 발견 시 어느 정도는 치료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치매 바로가기 이미지

뇌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이란, 뇌혈관이 막혀 터지거나 부푸는 등의 의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혈관이 막힌 것은 허혈성 뇌졸중, 터지면 출혈성 뇌졸중으로 부르고 뇌경색이나 뇌출혈이기 때문에 증상은 동일하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암 다음으로 흔한 사망원인으로, 단기 장기질환으로서는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고 합니다.

갑자기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라, 특히 조심해야 하는 질병입니다. 갑자기 말이 둔해졌거나 팔다리에 마비 증상이 느껴지거나, 두통, 구토, 의식 장애 등이 발생한다면 뇌졸중 일 수 있어 의심되면 바로 응급실로 가는 것이 좋습니다. 증상이 좋아지더라도 안심하지 말고 바로 정밀검사를 받아 보아야 합니다.

골다공증

골다공증이란 골밀도가 낮아지며 강도가 약해져 골절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골밀도는 대부분 유전적 요인과 스테로이드 복용, 흡연, 음주 등의 의해 낮아집니다.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확인이 어렵고, 골절로 인한 통증, 발생한 부위에 따른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손목, 척추, 고관절에 골절이 자주 발생합니다.

과도한 음주와 흡연은 삼가고 적절한 유산소 운동, 스트레칭과 햇볕을 쬐어 뼈에 좋은 비타민D를 충분히 합성 할 수있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뼈에 좋은 영양제 복용과 유제품을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골다공증 바로가기 이미지

관절염

관절염이란 뼈와 뼈가 만나는 관절이 부드럽게 운동할 수 있도록 연골, 관절낭, 활막, 인대, 힘줄, 근육 등으로 구성되어있는데, 염증에 의해 통증이 일어나는 것 입니다.

관절 부위가 붓거나 열감이 동반되면 관절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퇴행성으로 일어날 때는 관절 연골이 서서히 닳아 없어지면서 나타나며, 대체로 많이 생기는 무릎 이외에 어깨, 손가락, 고관절, 척추 등 모든 관절에서 나타난다고 합니다.

세라젬 바로가기 이미지

당뇨병

당뇨, 당뇨병이란 창자나 간에서 소화 흡수 및 합성되어 들어오는 포도당을 나중에 쓰기 위해 글리코겐으로 변형시켜 세포에 저장해두는데 이 과정이 지연되거나 정지되어 혈액 중 포도당이 지나치게 쌓이게 되어 소변으로 대량 유출되는 것을 말합니다.

당뇨병은 급격한 체중과 근육량의 감소, 소변량의 증가와 갈증, 거품뇨, 피로감, 시력감소, 재생력 저하 등의 증상이 있고, 심해지면 다양한 합병증들이 발병할 수 있어 무서운 질병입니다.

당뇨병 바로가기 이미지

파킨슨병

파킨슨병은 신경계에서 일어나는 퇴행성 질환입니다.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분비해주는신경세포가 원인 모르게 서서히 소실되어 가면서 진행됩니다.

서동증(움직임이 느린 상태), 떨림 등의 운동장애와 자율신경계 증상들과 위장관 장애, 인지기능 장애, 정신과적 증상 등의 비운동성 증상 또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발견 되기 시작했다면 검사를 바로 받아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고혈압

고혈압은 혈압이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 유지되는 대사성 질환입니다.

수축기 기준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기준 혈압이 90mmHg 이상일 때, 고혈압으로 진단 됩니다.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아 주기적으로 건강검진을 통해 확인하여 관리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모르고 있다가 방치하게 되면 심근경색, 심부전, 동맥경화증, 뇌졸중, 협심증 등의 합병증이 동반 될 수 있으니 60세 이상은 자주 확인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마치며

노인성 질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노화가 더 진행하기 전에 노인성 질환 예방법을 확인하시고 진행을 늦추시는 것이 어떠신가요?

감사합니다.